외 않되? vs. 왜 안돼?
1. 외 않되?
2. 왜 안돼?
2. 왜 안돼?
오늘은 __ 기분이 좋아!
1. 왠지
2. 웬지
1. 왠지
왠지 = 왜인지 모르게
'금일'이란?
1. 금요일
2. 지금 이날 (오늘)
3. 금빛 태양
금일; 지금 지나가고 있는 이날
나보고 일해라 절해라 하지마.
올바른 맞춤법은?
나보고 이래라 저래라 하지마.
회, 사주세요! vs. 회사, 주세요.
한결 멘토님의 속마음은?
회사, 주세요.
한결 멘토님은 욕심이 많답니다^^
희한하다 vs. 희안하다
1. 희한하다
2. 희안하다
1. 희한하다
희한하다; 매우 드물거나 신기하다.
그래, 이게 더 __. 빈칸에 들어갈 올바른 말은?
1. 낳다
2. 낫다
2. 낫다
낫다; 보다 더 좋거나 앞서 있다
1. 심심하고 지루하다
2. 공짜이다
3. 주술회전 영역전개
1. 심심하고 지루하다
무료하다; 흥미 있는 일이 없어 심심하고 지루하다
오늘 중식은 감자탕입니다. 이 문장에서 '중식'의 뜻은?
1. 중국식 요리
2. 점심
3. 메인 요리
2. 점심
중식; 점심에 끼니로 먹는 밥
바래다줄게. vs. 바래? 다 줄게.
성도 멘토님의 답변은?
바래다줄게.
성도 멘토님은 친절하다.
숙제를 끝내는 데 (며칠 / 몇일) 걸렸어?
숙제를 (며칠 / 몇일)까지 내야하지?
공통으로 들어갈 올바른 맞춤법은? 1. 며칠 2. 몇일
1. 며칠
며칠; 그달의 몇째 되는 날 / 몇 날
선생님, 이 숙제 꼭 해야 되나요?
뜻에 맞게 바꿀 수 있는 단어는?
1. 구지
2. 굳이
2. 굳이
굳이; 고집을 부려 구태여
'심심한 사과'의 올바른 해석은?
1. 소소한 사과
2. 싱거운 사과
3. 매우 깊은 사과
3. 매우 깊은 사과
심심하다; 마음의 표현 정도가 매우 깊고 간절하다
지호는 설렌다 vs. 지호는 설레인다
틀린 말은?
틀린 말: 지호는 설레인다
올바른 말: 설레다; 마음이 가라앉지 아니하고 들떠서 두근거리다
사랑, 해보고 싶어 vs. 사랑해, 보고싶어
수연 멘토님의 진짜 마음은?
사랑해, 보고싶어
수연 멘토님은 남자친구가 있다.
멘토님이 (가르쳐 / 가르켜) 주셨다.
올바른 맞춤법은? 1. 가르쳐 2. 가르켜
1. 가르쳐
가르치다; 지식이나 기능, 이치 따위를 깨닫게 하거나 익히게 하다
가리키다; 손가락 따위로 어떤 방향이나 대상을 집어서 보이거나 말하거나 알리다
수빈 멘토님은 수학 잘 몰라.. ___이야.
1. 무뇌한
2. 문외한
3. 무내한
2. 문외한
문외한; 어떤 일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
좋은 시발점이 되었다. 이 문장에서 '시발점'의 올바른 뜻은?
1. 안좋은 일의 계기
2. 잘못된 용법 (비속어)
3. 첫 출발을 하는 지점
3. 첫 출발을 하는 지점
시발점; 첫 출발을 하는 지점 / 일이 처음 시작되는 계기
우천시 플로깅 행사는 취소됩니다. '우천시'의 뜻은?
1. 우천이라는 도시
2. 비가 올 때
2. 비가 올 때
우천; 비가 오는 날씨
우천시는 비가 오는 날씨일 때를 말한다!
학교나 가고 싶다. vs. 학교, 나가고 싶다.
예빈 멘토님의 속마음은?
학교, 나가고 싶다.
예빈 멘토님은 개학이 싫어~
오빠로서 한마디 할게 vs. 오빠로써 한마디 할게
올바른 맞춤법은? 1. 로서 2. 로써
1. 로서
~로서;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냄
~로써; 어떤 일의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냄
멘토로 __ 좋은 인물이다.
1. 삶기
2. 삼기
2. 삼기
삼다; 어떤 대상과 인연을 맺어 자기와 관계있는 사람으로 만들다
나를 믿어줘.
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는?
1. 실례
2. 신뢰
2. 신뢰
신뢰; 굳게 믿고 의지함
'고지식하다'의 뜻은?
1. 융통성이 없고 답답하다
2. 지식이 많다
3. 사람들에게 도움이 된다
1. 융통성이 없고 답답하다
예문: 너무 고지식하면 다른 사람에게 경청하기 어렵다.
태조. 왕건이다. vs. 떼줘! 왕거미다 ㅜㅜ
강혁 멘토님이 할말은?
떼줘! 왕거미다 ㅜㅜ
강혁 멘토님은 벌레를 싫어한다.